N8N 글을 계속 작성하기 전에 리눅스에서 주로 사용되는 기본 명령어 몇가지를 정리해보려 합니다.
셀프 호스팅을 하려면 리눅스에 N8N을 설치해야하는데, 리눅스는 일반 사람들이 잘 접근하지 않는 OS라서
정리할 필요가 있을 것 같아서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대상은 우분투로 선정해서 작성해볼게요.
각각 사용법 정리를 쓰기엔 시간이 오래걸리기 때문에 ChatGPT의 도움을 받아 초안을 만들고, 추가적인 내용만 더 작성했습니다.
📌 우분투 리눅스 기본 명령어 정리 (apt, sudo, vi, cat, cd, ls)
apt (Advanced Package Tool)
우분투의 패키지(프로그램) 관리 도구. 설치, 삭제, 업데이트 등을 담당하는 도구입니다.
예를들어 N8N이나 기타 다른 프로그램을 설치할때 무조건 필요로 하는 명령어입니다.
📦 우분투에서 "패키지"란?
패키지(package) 는 우분투(리눅스)에서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관리하기 쉽게 묶어 놓은 파일 단위예요.
윈도우에서 설치 파일(setup.exe, *.msi) 나 맥에서 dmg 같은 개념이라고 보면 됩니다.
1. 패키지(package) 안에 들어있는 것
- 실행 파일 : 실제로 동작하는 프로그램
- 설정 파일 : 기본 환경 설정 값
- 라이브러리 :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필요한 추가 코드들
- 메타데이터 : 버전, 의존성 정보(이 프로그램이 실행되려면 어떤 패키지가 더 필요한지)
2. 우분투에서 패키지의 형태
- 보통 .deb 확장자를 가짐 (Debian 계열이기 때문에)
예: nginx_1.18.0-0ubuntu1_amd64.deb - 개별 .deb 파일을 직접 받아서 설치할 수도 있지만,
보통은 패키지 저장소(Repository) 에서 apt 명령어로 설치함.
일반적으로 IT 종사자가 아니면 .deb 파일에서 직접 설치하실일은 거의 없어요.
대부분 패키지에서 제공되니까요.
패키지 목록 업데이트:
sudo apt update
패키지 설치:
sudo apt install <Package Name>
패키지 삭제:
sudo apt remove <패키지 이름>
sudo (Super User DO)
앞에서 모든 명령어 sudo를 붙였어요. sudo가 뭔데 붙을까요?
sudo란 다른 유저의 권한을 사용한다는 뜻이에요.
일반적으로 root 권한을 의미합니다.
간혹 윈도우 사용자 분들은 아래 창과 유사한걸 보신분들이 계실겁니다.
윈도우의 UAC(User Access Control) 라는건데 관리자 권한으로 특정 행위를 실행하겠다고 알림을 주는거에요.
저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윈도우 내에서도 권한이 분리되어있어요.
로그인해서 쓰는 계정은 일반 사용자이며, 필요할때마다 위와 같은 창이 나타나서 관리자 권한을 취득한 뒤 작업을 실행해요.
윈도우가 위의 작업을 자동으로 알림을 띄워주고 허락을 받는다면,
리눅스에서는 관리자 작업이 필요한 부분에 꼭 sudo를 붙여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야해요.
붙이지 않는다면 작업이 실패하거나 권한이 부족하다는 메세지가 출력됩니다.
vi (텍스트 편집기)
터미널에서 실행하는 대표적인 텍스트 에디터입니다. 리눅스는 GUI와 CLI 버전이 있어요.
대부분의 IT 종사자분들은 CLI 환경에서 사용합니다. 그래서 CLI 에서 텍스트 수정을 위해 사용하는 대표적인 명령어가 CLI에요.
윈도우만 사용하는 일반 사람들은 처음 접하면 많은 어려움을 느낄 수 있어요.
모든 작업을 CLI로 해야하기 때문이죠.
파일 열기/편집:
vi <파일 명>
기본 모드 전환
- i → 입력 모드(편집 가능)
- Esc → 명령 모드
명령 모드에서 자주 쓰는 명령
- :w → 저장
- :q → 종료
- :wq → 저장 후 종료
- :q! → 저장 안 하고 강제 종료
vi는 직접 명령어를 입력하면서 실습하는게 이해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도움되는 영상을 촬영했으니 확인 부탁 드려요
cat (concatenate)
파일 내용 출력 명령어. 여러 파일을 합쳐서 출력도 가능해요.
cat <파일 이름>
cd (change directory)
디렉토리(폴더) 이동하는 명령어입니다. 상대 경로 / 절대 경로로 사용할 수 있어요.
절대 경로 : 디렉토리 전체 경로 입력
상대 경로 : 현재 디렉토리 기준 경로 입력
cd <디렉토리 경로 (상대 경로 or 절대 경로)>
ls (change directory)
현재 디렉토리 안의 파일과 폴더 목록 출력해요.
ls
-al 옵션을 붙이면 권한, 소유자, 크기, 수정 시간, 숨김 파일까지 모두 표시해요.
ls -al
정리
6가지 기본 명령어를 정리해봤습니다.
이 외에도 많은 기본 명령어들이 있지만, 필요시마다 하나씩 검색이나 AI를 통해 도움 받으면서 사용하는것이 좋아요.
많은 명령어를 미리 외운다고 하더라도, 그중에서 쓰는 것은 몇가지 되지 않기 때문이에여